원문 : http://sangminpark.wordpress.com/2013/04/22/오픈소스의-승리/
창조란다.
창조경제가 화제다. 큰 누님께서 “앞으로 5년은 창조여..” 하신후 언론, 정치인, 석학들이 제각각 “이게 창조 맞나여?” 떠들어대니, 드디어 그분께서 몇마디 하셨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3041815465078255). “창조”라고 말은 꺼냈는데, 막상 그 담에 할말이 없어서 많이 고민하셨을 그뿐께서 싸이의 젠틀맨이야말로 모범 창조라며 숟가락 슬쩍 얹어보는 모습이 참 보기 좋다. 빌 게이츠, 스티브잡스와 같은 창조적 인재를 “양성” 해야 한다는, “인재 양성론” 역시 일관되서 보기 좋다. 과거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었다면 지금은 잡스 키우기 5개년 계획을 세우려나 보다.
그분께서 소프트웨어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신 것은 나와 같은 일개 코더로서 참 황송한 일이다. 새 정부의 보호아래 높아진 코더의 존엄을 누리며 살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기사의 이 부분을 읽으며 마음속 깊은 곳에서 시작되는 빡침을 억누를 수 없다.
박 대통령은 “도전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야 하고, 그것에 대해서 정당하게 가치를 인정해줘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당연히 지적재산권이 잘 보호되어야 하고 국내기업들한테도 당연히 로열티를 지불해야한다”며 “소중한 가치를 보호하고 인정해 줘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오픈소스, 공짜? 해킹?
지적재산권, 로열티, 라이센스.. 아무래도 그분이 이쪽으로 관심을 가지신 듯 하다. 마음대로 복제 못하는 법을 만들어 코더의 밥 그릇을 보호해 주시려는 어머니의 마음을 느낀다. 물론 나 역시 SW의 불법 복제로 얼마나 많은 코더들이 고통받았는지 알고 있다. 하지만 쌓인 버그리포트에 허덕이는 내가 굳이 이렇게 글질하는 이유는 법과 제도가 아니라, 오픈소스가 한국 SW의 근본적 해결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분께서 “거 오픈소스가 뭐요?” 라고 물으면 아마도 주변에서 이리 대답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공짜로 쓰자는 운동입니다. 소스를 공개해서 로열티도 없다네요. 리차드 스톨만이라고 극좌파 MIT 해커가 시작했는데, 지금은 리눅스라고 서버실에서 종종 쓴다고 합니다요…”. 일단, 뭐 “공짜”, “해커”, “좌파” 요 부분에서 불꽃 싸다구가 한대 날아오지 않을까?
슬프지만 이게 한국의 오픈소스 인식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얼마전 한국에서 거의 유일하게 오픈소스를 만들고, 작디 작은 개발자 커뮤니티를 유지하던 KTH가 정리해고를 했다. 제법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과 같은 문화를 만들었고, 오픈소스 바닥에서 실력이 쟁쟁하던 사람을 많이 보유했던 회사다. 그런데 사장부터 날고 기던 개발자까지 모두 날려버리고는 이제 SI를 한단다. 작년에 나는 뉴욕의 잘나가는 스타트업 thefancy.com에서 아키텍트로 잠시 일했다. 내가 만나본 사람중 가장 천재같았던 미국인 창업자는 신기하게도 한국인들로 개발팀을 꾸몄다. 그가 꾸린 한국인 팀과 일해보니 이유를 알만했다. 정말 뛰어난 팀이었다. 그런데 그가 유별나게 공들이며 한국 개발자를 스카우트 하던 회사가 있다. 그게 KTH였다. 정말로 삼성같은 곳 출신은 쳐다보지도 않았고, 오로지 KTH 사람만 은밀히 접근해 뽑아왔다. 왜냐하면 거기에 보물들이 있었으니까…그런데 우리의 공적 기업인 KT는 오픈소스쟁이들 돈 못번다고 매몰차게 쫓아냈다.
제국과 문화
역사적으로 현재의 성공적인 실리콘밸리가 있기까지 두개의 가장 큰 SW 물줄기가 있다. 오픈소스 “해커” 파와 비공개소스 “머니”파 이렇게 나눌 수 있다. 그 시작은 해커파였고 큰 형님은 아래의 리차드 스톨먼이라 하겠다
사진 1: 리차드 스톨먼 – 해커파 원조. 극진 좌파.
1970년대 MIT에서 서식하던 학부 새내기 몇몇은 연구용 메인프레임을, 운영체제나 게임등을 만들어보려 밤마다 해킹했고 그중 스톨먼님이 강력한 해킹실력을 선보였다. 그분은 강한 심성을 지니셔서 MIT에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보안 시스템을 도입하자 곧바로 해킹해 모든 유저에게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말라는 경고를 보내기도 하셨다. 사실 그들의 해킹은 파괴가 아니라 재미와 자유의 추구였다. 누구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았고 초기 SW의 발전에 핵심이었다. 이후 스톨먼은 오픈소스계의 완전 좌파 GNU를 조직하고 (우파는 Apache 재단), GPL이라 불리는 오픈소스 라이센스를 만들어 이후의 오픈소스 운동에 이론적, 법적 토대를 확립했다.
70년대 미 동부파를 스톨만님이 장악했다면 서부파에는 스티브 워즈니악이라는 얼굴로는 절대 밀리지 않는 분이 있었다. 스티브 잡스와 워즈니악은 Homebrew Computer Club 이라는 직역하자면 “가내수공 컴퓨터 동호회”에서 처음만났다. 잡스가 비지니스로서 컴퓨터의 가능성을 보았다면 워즈니악은 컴퓨터 설계도와 소스를 공짜로 나누어주는 자비로운 해커였다. 워즈니악에겐 만드는 것뿐 아니라 그것을 공유하며 디자인에대해 신나게 떠드는 그 과정이 재미였다. 그래서 해커의 핵심은 파괴가 아니라 공유와 재미다.
사진 2: 얼굴로 디버깅 하시는 워즈니악님
동네 동호회나 학교 연구실에서 신나게 해킹하던 세력에게 도전장을 던진이가 바로 빌게이츠다. 그가 짠 베이직 컴파일러 소스코드를 당연하게 자기들끼리 나누던 해커 세력에게, 하버드 범생 빌게이츠는 1976년 이런 도발적인 편지를 보낸다 (http://g-ecx.images-amazon.com/images/G/01/books/orly/GatesLetter.pdf). 그 중 한 부분을 번역하자면:
“너희들(해커) 왜 이러니? 너희 취미로 하는 녀석들 왜 소프트웨어를 훔치고 그러니? 너희들 하드웨어는 돈주고 사잖니? 근데 왜 소프트웨어는 공유하고 지랄이야?…좋은 말할때 아래 주소로 돈 보내세요.”
어쩌면 아버지가 부자 변호사였던 빌게이츠에게는 “지적재산권”이 당연한 권리였는지 모른다.
여기로부터 오픈소스 “해커”파와 비공개소스 “머니”파가 갈린다. 머니파에는 그후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등 거친놈들이 세력을 형성했고, 돈에 눈 뒤집히는 저널리즘은 동호회에서 소스코드나 나누어보는 너드들 커뮤니티보다는 빌게이츠와 래리 엘리슨의 불어나는 재산에 더 관심이 많았다.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PC, 기업용 컴퓨터 시장이 가져다주는 돈이 “머니”파의 세력을 불렸다. 머니파는 결과적으로 돈의 제국을 만들었다.
그럼 오픈소스 해커파는 죽었는가? 절대로 아니다. 그들은 머니파에 대항해 돈 대신 넘쳐나는 잉여력과 시간으로 그들에 대항했다. 80년대 핀란드의 한 대학생 리누스 토발즈가 재미로 시작했던 리눅스가 윈도우즈에 대항했고, 역시 핀란드의 천재적 해커 몬티가 시작했던 MySQL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대항했다. 한 두 사람 천재적 해커의 지휘아래 전세계의 개미때같은 해커들이 일어섰다. 누가 돈 주는 일 아닌데도 재미있으니까, 그리고 해커에게 본능적으로 내재된 자유정신이 계속해서 해커파를 살아있게 했다. 오픈소스파는 결과적으로 SW문화를 일구었다.
승리자
자, 그럼 이쯤에서 과거를 정산해보자. 두 세력의 싸움에서 누가 승리했는가? 나는 오픈소스편이지만 과거만 돌아봤을때 머니파의 손을 들어주겠다. 솔직히 리눅스 데스크탑이 윈도우즈와 게임이 되는가? MySQL은 1조원에 팔린 반면 오라클은 여전히 150조원짜리의 회사다. 하지만 우리는 “과거회상부”가 아닌 “미래창조부”라는 부서를 만들었으니 현재와 미래를 생각해 봐야한다. “머니” 제국과 “오픈소스” 문화의 싸움에서 현재 누가 이기고 있는가? 단언컨데 문화가 이기고 있다. 오픈소스 문화를 적극 활용한 곳이 구글, 페이스북등 2000년 이후의 인터넷 기업이다.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리눅스 기반 오픈소스로 만들었고, 하둡과 같은 빅데이터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최근 구글은 오픈소스 회사가 설령 자신의 아이디어를 복제하더라도 고소하지 않겠다는 맹세까지 했다. 구글은 오픈소스 진영의 날고 기는 해커들, 예를 들어 자바의 제임스 고슬링, 파이썬의 Guido van Rossum등을 영입해 오픈소스 문화 중심에 있고 싶어 한다. 구글의 회사가치가 마이크로소프트를 넘어선것은 우연이 아니다. 문화가 이기는 것이다.
스타트업과 오픈소스
하지만 오픈소스 해커 문화가 진짜 꽃피우는 곳은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이다. 예를들어 github 이라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말그대로 “허브”가 되는 곳이 있다. 2012년 techcrunch의 베스트 오브 베스트 스타트업으로 뽑힌 곳이다. 오픈소스계의 영원한 아이돌 리누스 토발즈는 리눅스 커널을 관리하는 기존 툴이 엉망인 것에 너무 빡친 바람에 git이라는 소스관리 툴을 만든다. 그게 리누스에게 얼마나 깊은 빡침이었는지, 단 2주만에 완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고는 후에 “git 만드는게 제일 쉬웠어요” 라는 인터뷰로 나와같은 빠돌이를 지리게했다). github의 두 창업자들은 동네 프로그래밍 동호회(이것봐. 또 동호회다…)에서 만나 git을 인터넷 기반으로 확장하는 아이디어에 착안했다. 각자 직업이 있는지라 주말마다 브런치 먹으면서 코딩을 하고 서비스를 런치했다.
2011년 기준 매일 4500(!)개의 오픈소스 프로젝이 github에서 생성된다. 현재 1조원 가치의 회사로 실리콘밸리의 “달링”으로 사랑받는다. 리누스가 단 2주만에 만든 툴이 1조원짜리 회사, 사실은 그것보다 더 가치있는 인터넷 스케일의 소스코드 저장소를 만들었다. 리누스가 github으로 돈을 벌었다고 들어본적이 없다. 어차피 재미와 빡침의 해소를 위해 코딩하는 사람이니까. 세상 어느곳에서 2주 재미로 코딩하고 1조원짜리 회사가 만들어질 수 있을까? 그게 오픈소스 문화의 힘이다.
마무리
현재도 마이크로소프트나 오라클은 종종 꽤 쿨한 제품을 낸다. 예를들어 클라우드에서 Windows Azure같은 것들이다. 그런데 현지의 분위기는 “뒷방 저 노인네 아직도 뭐 깎고있네…” 이 수준이다. 그들을 추앙했던 저널리즘마저 이제는 제국에 등을 돌려버렸다. 현재는 오픈소스를 가장 강하게 등에 업은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등이 IT를 이끌고 있다. 그들 역시 문화를 잘 활용한 것일뿐 문화 자체는 아니다. 다음 영웅이 출현하면 언젠가 그 신진 제국들 역시 무너질 것이다. 하지만 문화는 절대로 죽지 않고 도도하게 흐른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우리는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며 소프트웨어가 그 중심에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청기와집이나 언론 모두 죽어가는 제국을 우러러보며 모델로 삼으려할 뿐이다. 스타트업이 많이 생겨야 한다고 대빵께서 이야기한다. 나는 오픈소스 아닌 MS의 플랫폼에서 만드는 스타트업을 도무지 상상할 수가 없다. 그들의 기억은 슬프게도 여전히 MS나 오라클이 한국에 뿌리내린 제국 그 안에 갇혀있다. 액티브엑스로 보안을 통제해야 하고, ‘을’이 짜낸 윈도우즈 프로그램이 ‘갑’에게 제값 받게 해주는 법 제정, 그것이 그들의 틀이다. 실리콘밸리의 가장 핵심에 있는 오픈소스 해커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치더라도, github처럼 한두명 젊은이가 오픈소스로 몇조원짜리 회사를 일구었다는 성공신화라도 좀 누가 전했으면 싶다. 제국은 죽지만 문화는 산다.
언젠가 우리 큰분께서 해카톤(Hackathon) 이벤트에 납시어서 해킹에 열중하는 우리의 희망들에게 인자한 미소 한방 날려주는 날이 왔으면 하고 바래본다.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원생과 교수 그리고 코스웍 (0) | 2013.08.08 |
---|---|
야근 없애기 (0) | 2013.08.08 |
융합이란 무엇인가 (0) | 2013.08.08 |